안녕하세요.임신,출산,육아를하면서 가장많이 사용하게되는 아이사랑카드,아이행복카드,국민행복 카드에대해 들어보셨을텐데요?많이는 들어봤지만 사실 어떤 차이점이있는지는 저또한 잘 몰랐엇는데 이번에 아이들 보육료중 기타경비를 결제하면서 차이점이 궁금해지더라구요?그래서 제가 차이점에대해 알아보고 정리해보았습니다.
✅ 예시 상황
✳️ 임신 중인 엄마 → 국민행복카드 + 아이사랑 바우처 기능 추가
👶 출산 후 아이가 어린이집 다님 → 같은 카드에 아이행복 기능 추가해서 보육료 결제
🍼 아이사랑카드
항목내용
대상 | 임산부 또는 신생아를 둔 가정 |
주요 용도 | 임신·출산 진료비, 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등 지원 (국가바우처) |
발급처 | 보건소 또는 아이사랑포털 |
주요 기능 | 국민행복카드와 연계되어 있음 (국민행복카드에 아이사랑 기능 탑재됨) |
지원 금액 | 임신 1회당 100만원 (다태아는 140만원) 바우처 지원 등 |
👶 아이행복카드
항목내용
대상 | 만 0세 ~ 5세 아동의 보호자 (어린이집/유치원 이용 시) |
주요 용도 | 보육료, 유아학비 결제용 카드 |
발급처 | 카드사 (신한, KB국민, 하나, 농협 등) 또는 복지로 |
주요 기능 | 보육료 자동 결제, 유아학비 지원 등 |
기타 | 국민행복카드로 대체 가능 (같은 카드에 기능 통합 가능) |
✅ 핵심 정리
구분아이사랑카드아이행복카드
대상 | 임산부 | 영유아 보호자 |
용도 | 임신·출산 관련 바우처 | 보육료 및 유아학비 결제 |
발급처 | 보건소, 아이사랑포털 | 카드사, 복지로 |
연계 카드 | 국민행복카드에 기능 포함 가능 | 국민행복카드에 기능 포함 가능 |
📌 결론:
- 아이사랑카드는 임신·출산 바우처용
- 아이행복카드는 보육료·유아학비 결제용
둘 다 국민행복카드 한 장에 통합해서 사용할 수 있으니, 국민행복카드를 신청하면서 해당 기능을 넣는 게 제일 편리해요.
또한 아이행복카드, 아이사랑카드, 국민행복카드는 다 같은 건 아니지만 서로 연결돼 있고 통합해서 쓸 수 있어요.
아래 한눈에 보기쉽게 정리해보았어요.
🧾 카드별 차이점 한눈에 보기
카드명정확한 이름역할/용도발급처비고
국민행복카드 | 메인카드 | 정부 바우처 통합 카드 (기본 틀) | 카드사 (신한, 국민 등) | 아래 두 카드 기능을 통합 가능 |
아이사랑카드 | 바우처 기능 | 임신·출산 관련 바우처 (진료비, 산모 지원 등) | 보건소 또는 온라인 | 국민행복카드에 기능 탑재 가능 |
아이행복카드 | 바우처 기능 | 보육료/유아학비 결제 (0~5세 아동 대상) | 복지로 또는 카드사 | 국민행복카드에 기능 탑재 가능 |
💳 핵심 요약
- 국민행복카드는 "기본 카드"예요.
이 카드 하나에 아이사랑카드 기능, 아이행복카드 기능, 그 외 바우처까지 여러 지원을 통합해서 넣을 수 있어요. - 아이사랑카드 = 임신·출산 진료비 바우처 (예: 병원비, 산모 관리 등)
- 아이행복카드 = 어린이집/유치원 보육료 결제용 바우처
- 두 기능 모두 국민행복카드에 탑재해서 한 장으로 사용 가능해요.